아래에 링크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기사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예)천하정 기자 = 현재 제주도 예맨 난민 수용에 대한 찬반 논란이 화제가 되고있는 가운데 세계 난민의 날을 맞아 자신의 SNS에 난민에게 관심을 가져달라 호소했던 배우 정우성이 이후 자신에게 달렸던 난민수용 반대, 난민악플에 대해 입을 열었다.
(UN난민기구 제공)
정우성은 5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 스튜디오에 직접 출연해 화제가 됐던 SNS 난민악플과 예맨 난민 수용문제로 찬반을 다투고 있는 국민에게 정확하고 강단있게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정우성은 난민 친선대사 활동을 하는 자신에게 실망하거나 지지를 해주지 못하겠다 말하는 악플에 대해 "당연히 해야 할 얘기이기 때문에 해야 하고, 이게 난민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 반대한다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며 "난민을 얼마만큼 이해를 하고 있고 난민이 처한 그 어려움 그리고 사실은 난민은 먼 나라의 이야기잖아요. 그리고 난민과 이주민에 대한 구분도 사실은 일반 사람들은 갖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므로 난민 문제에 반감을 보이는 국민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할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가 불평등했고 또 불안했다. 그러는 와중에 난민을 수용하자는 말을 들으면 국민들은 난민보다는 우리나라 국민을 우선시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씀하실 수밖에 없다"며 자신을 향헤 난민 문제에 반대한다고 표현하는 사람들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대한민국은 법과 제도가 이미 마련돼 있으며 대한민국은 또 국제사회하에 난민지위협약이라는 약속을 해놨고 협약은 국가 간의 약속"이라며 "우리 입장에서만 받자 안 받자 얘기할 수 있는 이슈거리는 아니다.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지켜가면서, 국내에서 발생하는 우려의 목소리를 잠 귀담아듣고 그런 우려를 최소화하고 불식시킬 수 있는 그런 노력을 동 시간대에 해나가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현재 국민들이 난민수용을 가장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이유 중 하나인 `가짜난민`과 그들에게 가짜서류를 만들어준다는 `브로커`에 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유엔 난민기구 사진 제공)
정우성은 "가짜 서류는 존재할 수가 없다. 그건 대한민국 법과 제도를 무시하는 것"이라 선을 그으며 "난민수용의 심사과정이 길고 엄격해 난민 인정률도 낮다"고 설명했다.
또 난민들이 한국에 수용되면 난민들 중에 테러리스트가 있을 수 있다. IS에 대한 공포심을 드러내는 사람들, 한국사회에 정착하지 못하고 범죄의 길로 빠져드는 사람들 때문에 이미 난민을 받아들인 프랑스나 유럽의 많은 국가가 고민하고 있다는 질문에 대해서 그는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을 예를 들어 설명했다.
"난민이기 때문에 범죄를 저지를 것이다 라는 건 굉장히 과장된 편견 중 하나다. 불행하게도 누구나 범죄자가 될 가능성은 있는 게 우리 사회 문제인 것 은 맞다"라며 "2007년 버지니아 공대에서 한국인 조승희라는 사람이 총기 난사를 했을 때 당시 미국 사회에서 `한국 사람들은 다 총기 난사범이 될 수 있으니 한국애들 조심해`라는 반응은 보이지 않았다."며 난민을 수용 했을 때 그들이 한국에 적응하지 못하고 주변부를 떠돌다가 범죄자로 빠져들게 하지 않으려면 오히려 난민이 확실한 사람이라고 심사에서 통과된 사람들은 자리를 잡아갈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또 웹툰 작가 `윤서인`이 정우성을 저격하며 올린 한컷만화를 포함 어차피 난민과 부딪혀서 살 일 절대 없는 돈 많은 유명 배우라는 국민들의 악플에 대해 "가난을 잊었을 수는 있다. 제 어린 시절은 정말 산동네 철거촌을 늘 전전하던 삶이었다"며 "그건 지나간 얘기라서 그걸 강조해서 여러분, 저는 여러분의 삶을 잘 압니다. 라고 얘기하는 것도 웃긴 것 같고 난민 문제는 한 개인이나 한 국가가 책임질 수 없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같이 책임을 동반해야 되는 문제라는 것에 대해 사회적 관심을 가져달라 얘기하는 거지 국민께 책임을 져달라고 말씀드리는 건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대한민국이라는 국가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그 문제를 같이 공감하고 같이 가져가야 한다는 말씀을 드리는 거지 여러분들의 삶의 질과 풍요를 뺏고자 말씀드리는 게 아니다"라며 난민 문제에 직접적인 도움을 요구하는 게 아닌 국제사회의 일원이라면 모두가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이해해야 한다고 또다시 강조했다.
(정우성 인스타그램)
또 그는 자신의 SNS에 달린 난민 관련 악플을 두 번 세 번 읽었다고 털어놨다.
그에 대해 "분명히 반대하거나 비판하는 목소리 이면에 감춰진 감정을 잘 봐야지 같이 소통할 수 있다"며 "지금 세대가 가장 중요한 연령대인 것 같다. 다음 세대에게 도움이 되는 대한민국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지금 저희 세대가 어떻게 목소리를 내고 어떻게 행동하는지가 중요한 것 같다"고 소신을 밝혔다.
그는 마지막으로 "지금 6,850만 명이라는 난민의 숫자가 집계되고 있는데 6,850만 명의 개인사를 가진 각자 다른 삶을 살고 있던 평범한 누군가"라며 "우리가 또 그런 어려움을 겪으면 안 되고. 결국에는 난민을 얘기하고 난민을 돕자고 하는 거는 이런 말도 안 되는 분쟁과 전쟁은 없어져야 된다고 난민들은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므로 난민에 관한 관심은 그냥 어려운 사람을 돕자는 그런 단순한 온정의 얘기가 아니라 이 분쟁을 어떻게 하면 없애자고 목소리를 낼 수 있을까라는 그런 의사 표명이다."라고 마무리했다.
정우성의 인터뷰를 들은 누리꾼들은 "어렵고 힘든 사람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나 또한 이해받을 수 없다", "배우 정우성을 보면 지적인 성취나 도덕적 올바름이 학교 교육과 별 상관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나는 명문대 나왔다고 거들먹거리는 사람 중에 정우성만큼 지적이고 정치적으로 올바르며 윤리적인 사람을 별로 못 봤다.", "배우의 인터뷰를 들으며 울컥해보기는 처음이다", "인터뷰 보는 내내 감탄했다. 어떻게 이런 사람이 있을 수 있지?"라는 반응을 보였다.
출처 : 영남연합신문. 뉴스(http://www.ynyonhapnews.com)
창녕 화왕산자연휴양림에서 여름 보내기! (0) | 2018.07.06 |
---|---|
함안, 맞춤형 '하우스클린사업' 실시! (0) | 2018.07.06 |
정우성의 발언, "난민 문제에 관한 저의 생각은" 자신의 생각 밝혀. (0) | 2018.07.05 |
밀양, 표충사에서 여름나기 인기 (0) | 2018.07.05 |
의령전통시장, 특성화 첫걸음시장 최종 선정 (0) | 2018.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