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연합뉴스

아래에 링크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기사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ynyonhap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257

의령군은 25일(화) 학술조사에서 삼국시대 당시 지리적 거점의 중요한 역할을 한 낙동강 서안의 유곡 산성 성벽과 내부 집수시설, 5세기 중·후반으로 편년 되는 다량의 유물을 확인했다.


유곡 산성은 지난 1994년 ‘의령의 선사·가야 유적’에 처음 소개된 이후 2017년 가야사 복원 사업과 관련하여 비지정 문화재인 유곡 산성과 유곡리 고분군에 대한 정비·보존계획 수립을 위해 정밀지표조사를 시행했다. 이번 발굴(시굴) 조사는 정밀지표조사를 바탕으로 의령지역 가야사 복원의 실체 규명을 위한 일환으로 진행됐다.


조사 기관인 (재)두류문화연구원은 이번 조사에서 가야 산성(석성)의 내·외벽과 구상유구, 주혈, 해수산패각, 석렬, 통일신라시대에 폐기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수 시설 등을 확인했다. 산성의 하부 문화층에서 확인된 해수산패각의 존재는 당시의 자연환경과 고고 지리 연구의 단초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체성은 높이 1.5m(5~6단) 정도 잔존하며 내·외벽의 너비는 3m 정도로 외벽은 다듬지 않은 할석을 사용하여 허튼층쌓기 방법으로 조성했다. 벽석 사이의 공간에는 점토를 사용하여 축조했으며 이러한 축조방법과 체성의 너비는 일반적인 신라 성곽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체성을 처음 쌓은 시기는 체성 하부와 내·외에서 출토된 유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작은 조각으로 출토된 유물들은 인접한 유곡리 고분군에서 출토되는 합천 다라국과 고령 대 가야계의 토기와 유사하여 그 시기는 5세기 중·후반 경으로 보고 있다.


또한 집수지는 지형 상으로 성내의 유수가 모이는 남쪽 체성의 안쪽에 위치하며 현재 집수지의 축조 시기는 파악하기 어려우나 집수지의 폐기층에서 선문이 시문 된 두께 2cm 정도 기와 편이 확인되어 통일신라시대에 폐기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가야 시대의 고령 주산성, 합천 대야성·초팔성, 함안 칠원 산성·안곡 산성 등이 조사되어 가야 산성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정립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낙동강의 서쪽 방어선에 축조된 의령 유곡 산성은 가야 산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용무 기자 ynyhnews@ynyonhapnews.com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